[김대호의 경제읽기] 파월 "금리 인하 머지않아"…미 S&P500 사상 최고 마감<br /><br /><br />경제 현안을 보다 쉽게 풀어보는 '경제읽기' 시간입니다.<br /><br />오늘도 다양한 경제 이슈들, 김대호 경제학 박사와 짚어보겠습니다.<br /><br />안녕하세요.<br /><br /> 금리 인하가 머지않았다는 파월 미 연준 의장의 발언에 지난밤 뉴욕 증시의 3대 지수가 모두 일제히 오르면서 거래를 마감했습니다. S&P500 지수는 최고치를 경신했는데 어떻게 보셨습니까?<br /><br /> 성급함을 경계하는 목소리도 있지만 시장에서는 주요 중앙은행들의 6월 금리인하에 힘을 싣고 있는 모습인데 가능성은 어떨까요? 미국의 2월 민간 부문 고용이 시장 예상보다 더 밑돌았는데 금리 향방에는 어떤 변수가 될까요?<br /><br /> 연준의 금리 인하 시점이 당초 예상보다 미뤄지고 있는데 우리 인하 시점은 언제쯤이 될지도 관심입니다. 2월 소비자 물가가 다시 3%대로 올라섰고 한은은 당분간 물가 흐름이 울퉁불퉁할 거라 전망했는데 금리 시계도 예상보다 느려질 거라 봐야 할까요?<br /><br /> 다른 이슈도 살펴보죠. 금융당국의 홍콩 H지수 연계 ELS 조사가 마무리 수순에 들어가며 다음 주 배상안 윤곽이 나올 예정입니다. 이복현 금감원장은 일괄 배상은 없을 거라고 예고했는데 투자자에 따라 배상 수준 차이가 크다는 뜻일까요?<br /><br /> 지난해부터 H지수 ELS 판매 관련 검사에 돌입한 금감원은 은행 등의 불완전판매를 상당수 적발한 것으로 알려지는데 구체적으로 어떤 사례가 있었나요?<br /><br /> 금융회사가 제재 확정 이전에 손실 배상에 나서면 과징금이 경감될 수 있다는데 은행권이 자율배상에 나서게 하는 '압박' 요인이 될 수도 있을까요? 은행권에서는 자율배상에 대해 사실상 난색을 보이고 있는데 어떤 이유 때문인가요?<br /><br /> 한편, 은행에서 판매하는 고위험 상품에 대한 판매 규제에 대한 논의도 본격화되고 있습니다. 리스크 관리와 내부통제 절차 미비, 판매 직원의 전문성 부족 등이 사태를 키운 요인으로 지적되고 있는데 앞으로 어떻게 개선되어야 할까요?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